안녕하세요.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현상을 보였습니다. 보통 미국채권 10년물 금리보다 2년물 금리가 높아지는 것을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라 부르고 이를 경기침체의 전조로 봅니다. 일반적으로 10년짜리 채권 금리가 2년짜리 채권 금리보다 높습니다. 하지만 10년물 채권 매수세가 강해지면서 10년물 금리가 낮아지고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2년물 금리는 높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10년물과 2년물 금리가 역전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돈이 10년물 채권에 몰린다는 것은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다는 소리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장단기 금리차 = (10년물 미국 채권 금리) - (2년물 미국 채권 금리)
그래프에서 회색음영 부분은 경기침체를 나타냅니다. 장단기 금리차가 마이너스가 되고 나서 경기침체가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략 빠르면 6개월에서 느리면 2년 사이에 경기침체가 옵니다. 최근 3번의 사례를 보겠습니다.
2019년 8월에 역전현상 / 2020년 코로나 판데믹
2005년 12월에 역전현상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1998년 6월에 역전현상 / 2000년 닷컴버블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발생해도 경기침체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증시가 고점을 향해 달려갑니다. 문제는 고점을 이어가다 언제 경기침체가 터질지 모른다는 것입니다. 고점을 갱신하는 달콤함에 빠져 시장에 계속 참여하다가는 경기침체를 맞을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증시가 오를 수 있겠지만 1~2년 안에는 큰 경기침체가 올 수 있습니다. 안전하게 가고 싶다면 비중을 줄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투자는 개인의 선택이니 신중하게 생각하시고 투자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투자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년만에 쓰는 투자일기 (3) | 2024.10.13 |
---|---|
엔저(円安) 구로다 라인(USD/JPY 125)을 깰 것인가? (0) | 2022.04.06 |
해성산업 - 지주사로 전환하는 회사 (0) | 2022.02.28 |
KT&G - 어버이날을 맞이해 알아보는 기업 (0) | 2021.05.08 |
미국 주식 11가지 섹터(sector)에 관하여 (0) | 2021.05.03 |
댓글